트라이텍, 이더켓(EtherCAT) 사용자들의 모임
ETG 멤버미팅 개최
ETG Korea
이더켓(EtherCAT) 사용자들의 모임인 ‘제7회 ETG 멤버 미팅’이 지난 7월 20일 서울 베스트웨스턴 프리미어 구로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번에 개최된 ETG 멤버미팅은 메르스의 여파로 개최되지 못했던 2015년 소식을 더해 지금까지 ETG 협회가 마련했던 다양한 이벤트 및 EtherCAT 적용사례들을 발표하는 시간이 되었으며, 특히 EtherCAT P 및 CTT V2.0출시를 비롯해 EtherCAT의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는EtherCAT 설치 가이드 제공, OPCF와 MOU를 맺어 인더스트리 4.0/IoT 기술에 최적화 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선두적으로 마련하는 등의 다양한 소식을 발표했다.ETG Korea의 정명오 차장은 국내 EtherCAT 동향 및 이벤트 소식을 전했으며, ETG 협회장인 Martin Rostan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EtherCAT 활동 및 동향, EtherCAT업데이트 소식을 자세히 전해 주었다. 이와 더불어 국내에서 진행한 EtherCAT 적용사례에 대해 다인큐브에서는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소프트서보에서는 모션 애플리케이션을 발표해 참가자들의 이해를 도왔으며, Power21에서는에너지 산업인 ESS, 한국 생산기술원에서는 EtherCAT 마스터 및 슬레이브와 EtherCAT 시스템으로 구현된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발표했다.
![]() |
인더스트리 4.0과 IoT의 관계 |
ETG 회원사들의 놀라운 증가율
ETG Korea 정명오 차장은 “지난 1년동안 23개 회원사가 가입해 국내에서만 200 회원사를 넘어섰다. 회원사 제품공급자와 장비공급 회원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IT 분야및 로봇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사용자 및 시스템 통합 회원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설명했다.
그는 또 “ETG Korea는 매년 세미콘 및 AIMEX 전시회에서 공동부스를 마련하여, 회원사들의 제품을 전시 및 홍보하고 있으며, ETG 멤버 미팅을 통해 EtherCAT의 새로운 소식을 전하고 있다.”며 “특히 EtherCAT 로드쇼를 통해 회원사들의 솔루션 및 데모시연을 사용자에게 선보이게되는데, ETG 회원사 담당자들은 이러한 활동에 많은 참여를 해주었으면 좋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편 ETG Korea는 이번 9월에는 EtherCAT Plug Fest및 Safety 세미나를 준비하고 있으며, 2017년은 세미콘 및AIMEX 전시회 공동 부스 및 EtherCAT 로드쇼를 기획하고 있다.
또 이번 행사를 위해 방한한 Martin Rostan ETG 협회장은 ETG 회원사들의 놀라운 증가율에 대해 설명하며 2016년 년 500 회원사를 넘기면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어떤 이는 회원사 증가율을 둔화될 것이라고예상하기도 했지만 결국 기우일 뿐이며, 2016년 7월 현재3,828 회원사를 기록하고 있다. 그중 아시아는 1,421 회원사로 전체 37%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 일본,한국에서 EtherCAT을 적극적으로 도입 및 활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롭게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서도 새로운 회원사가 가입하여 EtherCAT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ETG의 회원사의 증가율뿐만 아니라, 회원사들의EtherCAT 제품군들 또한 활발히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EtherCAT 마스터 194, 드라이브 159, 입출력 모듈 102개회원사에서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500 종류가 넘는 드라이브 및 1,000 종류가 넘는 입출력 모듈 제품을 시장에서찾을 수 있다.
ETG는 전세계적으로 Plug Fest, EtherCAT 로드쇼, 전시회 등 EtherCAT 기술의 확산을 위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ETG 회원들은 누구나 ETG 이벤트에 참여하여 새롭게 업데이트된 소식과 기술들 접할 수 있다.
![]() |
하노버메세 2016에서 토요타가 공장 내 네트워크로 EtherCAT을 전면 채택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
인더스트리 4.0의 중심, EtherCAT
최근 인더스트리 4.0과 IoT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ETG는 OPCF와 함께 인더스트리 4.0과 IoT를 위한 공동 인터페이스를 함께 작업하기로 결정했으며, 기존장치와 시스템을 통합하는 인터페이스를 EtherCAT 통신을 기반으로 작업한다. 구체적인 ‘사용 예시’는 이미 정의되었고, 인터페이스 사양에 대한 요구 사항도 도출되었다.ETG 협회와 OPCF와의 MOU가 체결된 뒤, 다른 여러 협회에서 OPCF와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또한, 사양으로 Publisher/Subscriber 모델을 통한 OPCUA 서버의 확장을 고려하고 있다. EAP 프로토콜 또한 이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EAP 실시간 통신 내에서OPC UA 서버의 완벽한 통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또는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장치의 정보는 인더스트리 4.0규격 매커니즘에 매핑되고 그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이것은 모든 정보에 대한 일관된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공장의 생산 수준에서 계정 보안 측면 및 실시간 요구사항이고려될 수 있다.
Martin Rostan 회장은 “비록 아직까지는 결론지어지지않았지만, TSN(Time Sensitive Networking)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ETG 협회의 Dr. Karl Weber(IEEE802.1멤버)가 TSN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처럼,ETG는 인더스트리 4.0/IoT/TSN 프로젝트에서 선두적인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장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또한, ETG 멤버로써, 각 분야에 선두적인 회원사들이 가입할 뿐 아니라 자사 설비 공장에 도입하고 있는데, Airbus가 3,000 회원사로 2014년에 가입했으며, 특히 토요타 자동차는 2016년 4월 26일, 하노버메세에서 EtherCAT 추진단체인 ETG(EtherCAT Technology Group)의 기자 회견에서 자사의 공장 내에 사용되는 산업용 네트워크로서EtherCAT을 전면적으로 채택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Martin Rostan ETG 협회장은 세상에서 가장 큰 3D Printer 애플리케이션과 휴모로이드 로봇를 소개했다.
Real Time 지원 등 나날이 발전하는 EtherCAT 기술
이어진 세션에서 Martin Rostan 회장은 또 최근EtherCAT 기술에 대해 업데이트 해주었다.
ETG에서는 CTT V2.0을 발표했다. 이번 버전의 가장큰 특징은 이전 버전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Real Time 모드를 지원하는 것이다. 새로운 버전은 ETG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Safety 기능을 검증할수 있는 버전을 준비하고 있다.
또 EtherCAT P를 채용했다. EtherCAT P는 EtherCAT산업용 이더넷 프로토콜과 주변 전압을 하나의 케이블 안에통합했다. 게다가, EtherCAT P는 디바이스를 통해서 파워서플라이의 직접 공급이 가능하다.
고성능 EtherCAT 통신과 유연성의 조합, 제약없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들은 EtherCAT P를 센서, 엑츄에이터와 측정 기술 분야에서 이상적인 버스 시스템으로 만든다. 원케이블 자동화 솔루션으로, 부품 원가와 전장 비용을 줄일 수있고 드래그 체인이나 컨트롤 캐비닛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기계의 설치 공간도 줄어드는 결과를 낳는다.
그는 또 EtherCAT 설치 가이드 제공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ETG는 EtherCAT 통신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는EtherCAT 설치 가이드를 배포하고 있다. EtherCAT을 설치하면서 열악한 환경에서의 고려사항 및 대처 방법들을 기술했다. EtherCAT 설치 가이드는 ETG 협회 홈페이지에서다운 받을 수 있으며, 한글판을 준비하고 있다.
EtherCAT을 활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마지막으로 EtherCAT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소개됐다.
다인큐브에서 ‘Robot Teach Pendant & MotionController’제목으로 로봇 구동을 위한 EtherCAT 마스트제품을 선보였다.
또 소프트서보에서 ‘EtherCAT Based Soft MotionController’제목으로 모션 제어기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이내장되어 있는 소프트모션 제품을 선보였으며, 국내 반도체 장비업체에 적용된 사례를 소개했다.
Power21은 ‘EtherCAT 을 이용한 주파수조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제어시스템 구축’에 대해 소개했다. 특히국내에서 이루어진 ESS 사업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되고 있으며, 중요한 특징으로 여러 계층간 통신으로 EtherCAT을 적용한 결과 전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업데이트가 20㎳ 이내로 이루어졌으며, ESS의 밧데리 충·방전 제어가 120㎳ 이내로 완벽히 제어되어 타 시스템에 비해 성능적으로 월등히 높게 평가 받은 사례를 소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EtherCAT 시스템을 이용한‘Cable-Driven Manipulator’를 소개했다. 최근 한류로 각광받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적용된 사례들을 설명했으며, EtherCAT 마스터/슬레이브 또한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했는데, 이에 대한 성능들에대해서도 소개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