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고 간단한 안내서] EtherCAT Redundancy 구성방법

장비를 사용할 때 통신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하여 장비가 멈추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장비가 통신을 하고 있을 때 장비 내의 필드버스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없을 뿐더러 경우에 따라 갑자기 장비가 멈추게 되어 장비의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이 케이블 이중화 구성(Cable Redundancy)입니다. 장비내의 모듈간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케이블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다른 케이블을 통해 통신이 지속되게 할 수 있습니다. 이중화 구성을 할 때에는 PC에서 두 개 이상의 이더넷 포트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만약 포트의 개수가 부족하다면 Beckhoff 제품에서는 Embedded PC는 EL6652를 추가할 수 있으며, EtherCAT으로 이중화를 구성할 경우에는 EK1110과 같은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IPC는 FC1100번대와 같은 이더넷 PCIe카드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두 제품군 모두 CU2508과 같은 Hub를 이용하여 이중화를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EtherCAT 통신에서 Redundancy를 어떻게 구성하는지, CU2508을 사용하였을 때는 어떤 방식으로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edundancy 구성 이중화(Redundancy) 란? 이중화 구성이란 앞서 설명 드린 것과 같이 장비를 Ring Topology로 구성하여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통신 단절에 의한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하기위해 통신포트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EtherCAT통신은 위와 같이 구성하며 Primary Port에서 프레임을 내보내 EtherCAT Slave를 거쳐 Secondary Port에 도착하게 됩니다. 위 그림에서 SlaveCount 는 각 EtherCAT Master 에서 처리중인 Slave 의 개수를 표현합니다 . 이때 실제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포트는 한 포트에서 처리되며 위 그림처럼 ...